혁신생태계의 관점에서 혁신정책은 취약한 혁신생태계를 개선하거나 강화하는 정부의 개입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혁신생태계는 크게 볼 때 지식(knowledge)과 혁신주체로 구성된다고 할수 있다. 이때 지식은 독자적으로 존재한다기 보다는 지식의 담지자인 인력에 배태되기(embedded) 마련이다.

혁신주체의 경우에는 다양한 혁신주체 중에서도 직접적인 혁신주체이면서 핵심적인 혁신주체인 기업과 기업간 관계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업간 관계는 핵심적인 혁신주체인 기업의 움직임과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일정한 한계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인력의 형성, 성장 및 활용 조차도 기업간 관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혁신생태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기업간 관계라 할 수 있다.

혁신정책이 혁신생태계를 개선하거나 강화하는 정부의 개입이라 할 때, 탈추격의 환경이나 탈추격시대에 정부의 개입은 핵심적으로 해당 분야의 국내외 기업간관계를 식별하고 적극적으로 고려한 상태에서 전략적인 방향을 설정하지 않으면 정책효과를 실현하기가 쉽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정책혁신이 추구해야 할 바가 바로 이것이다.

본문 중에서

지푸라기라도 잡아야 하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어떤 정부든) 기존 대처방안이 답답함을 더욱 키운다. ‘기승전규제완화’가 대표적이고 과거의 유물인 큰 놈에게 ‘자원 몰아주기’, 말만 그럴싸한 ‘상생’ 등이 그것이다. 핵심적인 요소일 수 밖에 없는 한국의 기업의 행태와, 한국의 혁신의 여건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이러한 주장들은 우리가 걸어온 맥락을 빠뜨리거나 과거의 성공경험에 휘둘리는 격이다.
이런 대응은 한국이 겪는 어려움을 완화시키기는커녕 혼동을 심화시켜 늪에 빠뜨리는 꼴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시각
제1장 비즈니스생태계
제2장 혁신생태계
제2부 한국의 현실
제3장 한국의 지식생태계
제4장 한국의 비즈니스생태계
제5장 한국의 혁신생태계 – 중소기업 초점
제3부 한국의 정책과 그 한계
제6장 한국의 전반적인 정책 특성
제7장 시스템반도체정책
제8장 주요 정책담론 비판
제4부 정책혁신
제9장 추격형 정책에서 벗어나기
제10장 정책혁신
마무리
참고문헌

저자 소개

현 한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기업의 혁신실태와 한국기업에 적합한 혁신방식을 고민하면서, 최근에는 탈추격과 서비스혁신을 집중 고민하고 있다.

판매처

네이버스마트스토어 https://smartstore.naver.com/kbasin/products/11655508004